본문 바로가기

망할 놈의 TV

‘배삼룡’과 함께 사라지는 것들

“신문을 봤더니 10년 동안 물가는 36%밖에 안 올랐는데 등록금은 116%나 올랐대. 아니 등록금이 우리 아빠 혈압이야. 옛날엔 우리 아버지들이 소 팔아서 등록금 댔지만 지금은 소 팔아서 택도 없어. 왜 아버지들이 등록금 대려고 죽을 때까지 소처럼 일해야 되냐고. 우리 아빠가 무슨 ‘워낭소리’야. 이거 슬프잖아.”

KBS <개그콘서트>의 ‘동혁이 형’ 한마디, 한마디에 관객들이 ‘뻥’ 터진다. 이른바 ‘일침개그’로 인기를 얻고 있는 개그맨 장동혁씨는 대학 등록금, 휴대전화 요금 등의 불합리를 거침없이 꼬집는다. 재미도 있고, 속도 후련하다.

신예 개그맨이 브라운관에서 빛나고 있을 때 원로 코미디언 배삼룡씨가 쓸쓸하게 세상을 떠났다.

1970년대 초 MBC <웃으면 복이 와요>는 <개그콘서트>보다 훨씬 인기있는 프로그램이었다. ‘박치기왕’ 김일의 레슬링과 <웃으면 복이 와요>, 그리고 외화 <타잔>은 놓칠 수 없었다. 하여, 베트남 다녀온 삼촌 덕분에 TV가 생긴 이장집 막내에게 딱지 몇장이라도 집어주고 꼭 봐야만 했다. 그중 압권은 <웃으면 복이 와요>였다.

여름날, <웃으면 복이 와요>가 방영될 시간이면 TV를 대청마루에 내놓은 이장집 안마당에 마을사람들이 둘러앉았다. 메인 타이틀에 서영춘과 배삼룡, 이기동, 구봉서씨 등의 코믹한 캐릭터가 흐르면 묘한 흥분이 일었다. 그랬다. 어느 마을에나 만담가가 한 명씩 있게 마련이었다. 입담으로는 둘째가라면 서러워하던 한 아주머니는 코미디 대목마다 후렴구를 넣었다.

특집 프로그램 하나 없는 방송

“서영춘이는 삐쩍 말라서 마누라 건사하기 힘들껴” “아이구, 구봉서는 만날 입에 사탕을 물고 사나?” “이기동이 별명이 난쟁이 X자루랴.”

힘든 농사일을 끝내고 저녁상을 물린 동네 어른들은 서영춘씨 때문에 웃고, 구봉서씨 때문에 웃고, 동네 아주머니의 추임새에 또 웃었다.

그러나 아이들의 우상(?)은 단연 배삼룡씨였다. 짧은 칠부바지에 생전 빗지도 않는 듯한 꺼벙한 머리를 하고 그가 비루 먹은 강아지처럼 비실비실 등장하면 “삼룡이다”라며 환호했다.


경향신문 자료사진


내 친구들은 <웃으면 복이 와요>를 보고 온 다음날이면 어김없이 ‘개다리춤’을 흉내냈다. 소풍이라도 가서 장기자랑을 하면 열에 아홉은 개다리춤이었다. 요즘 유행하는 ‘시건방춤’이나 ‘엉덩이춤’의 인기와는 비교할 수 없었다.

오죽했으면 어린이들에게 안 좋은 영향을 미친다면서 배삼룡씨의 출연을 금지해야 한다고 했을까. 이후 맹구(이창훈)도 있었고, 영구(심형래)도 있었지만 ‘비실이’ 배삼룡씨의 인기를 뛰어넘지는 못했다.

그로부터 수십년의 세월이 흘러 기자가 된 뒤 그분의 근황을 전하는 기사를 몇차례 썼지만 행간은 늘 씁쓸했다. 그분의 상가엔 한동안 이름 석자를 잊고 살았던 왕년의 코미디언들이 모습을 보였다. 무참한 세월 때문인가, 아니면 상갓집의 무거움 때문인가. 그분들의 얼굴에서도 왕년의 웃음을 발견하기 힘들었다.

배삼룡씨 같은 분들의 피땀으로 번듯하게 성장한 방송사에서는 특집 프로그램도 없었다. 금메달을 딴 김연아에 환호했고, MB 측근으로 분류되는 새 사장이 선임됐다. 브라운관은 여전히 그분의 증손자뻘인 아이돌 스타들의 연애담으로 채워졌다.

‘오래된 가치’에 경외심 회복을

언제부턴가 우리는 ‘새것 증후군’에 시달리고 있다. 휴대전화도 새것이어야 하고, TV도 새것이어야 한다. 아파트도 새 아파트가 좋고, 길도 새것이라야 좋다. 강도 오래됐으면 파헤치고, 뒷골목도 오래되면 없애야 직성이 풀린다. 심지어 사람도 그렇다.

“초콜릿복근이나 S라인이 없으면 인간도 아니야? 대한민국 모든 국민이 왜 헬스 강사가 돼야 하냐고. 이거 너무 슬프잖아.”

낡고 오래됐지만 가치있는 것에 대한 경외심을 회복하는 것, 이것이야말로 지금 우리에게 절실한 덕목이 아닐까.